변발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알고 계셨나요? 변절과 머리를 합쳐서 만든 말이라고 합니다. 청나라의 문화인데 어떤 사람들이 변발을 했을지 알아봅시다.
[[나의목차]]
변발이란?
"변발"은 청나라 시절 중국인들이나 조선에서 일부 사람들이 했던 머리 스타일을 지칭합니다.
청나라가 명나라를 정복하면서 만주 스타일의 머리를 강요하게 되었습니다.
이 머리 스타일은 전반적으로 머리 앞부분을 밀어버리고, 뒷부분의 머리는 길게 늘어뜨려서 땋는 스타일이었습니다.
이러한 머리 스타일은 청나라 정부의 권력을 상징하며, 만주 통치층의 문화적 우월성을 나타내는 심볼로 사용되었습니다.
조선에서도 청나라의 영향을 받아 양반들 중에는 이러한 머리 스타일을 따르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발은 조선 사람들에게 큰 반감을 불러일으켰으며, 청나라의 지배와 연관된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를 거부했습니다.
"변발"이라는 단어는 "변절"과 "머리"를 합친 말로, 청나라의 문화나 통치에 굴복하였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변발의 유래
"변발"은 조선 후기에 유래한 단어로, 청나라의 머리 모양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 의미와 유래를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변발의 의미
'변발'은 '변절'과 '머리'를 합쳐 만든 말입니다.
'변절'은 원래의 신념이나 주의에서 떨어져 다른 것을 따르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조선의 전통적인 머리 스타일에서 청나라 스타일로 변한 것을 지칭합니다.
유래
17세기 후반, 청나라가 조선에게 tributary state의 관계를 요구하면서, 청의 문화와 습관, 특히 머리 모양에 대한 영향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청나라의 머리 스타일은 머리 앞부분을 모두 깎고 뒷부분은 길게 자라게 한 다음 땋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머리 모양은 청나라의 만주인들의 전통적인 스타일이었습니다.
조선에서는 이런 머리 스타일을 따르는 것을 부정적으로 본다.
그 이유는 청나라의 머리 스타일은 청의 지배를 상징하는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선진적인 사람들이나 청나라와의 외교적인 관계를 중요시하는 양반들은 청의 머리 스타일을 따랐고, 그들을 가리켜 '변발'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변발'은 원래의 조선 문화에서 청나라의 문화로 변절한, 특히 그 머리 스타일을 따른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조선인도 변발을?
조선 후기, 특히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청나라의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일부 조선 사람들, 특히 양반 계층 중에서는 청나라의 스타일과 문화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청나라의 머리 스타일, 즉 앞머리를 밀고 뒷머리를 묶어 땋는 스타일(변발)을 본따 한 것도 이런 문화적 영향의 일환이었습니다.
이렇게 변발 스타일을 따르는 사람들은 진보적이거나 청나라와의 관계를 중시하는 사람들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조선 사람들은 이러한 변발 스타일을 청나라의 지배와 연관된 것으로 보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거부하였습니다.
변발 스타일은 청나라의 지배를 상징하는 것으로 간주되었고, 그것을 따르는 것은 조선의 독립성과 전통을 포기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부 사람들이 변발 스타일을 취했더라도, 그것은 극히 제한적이었고 대다수의 사람들에게는 부정적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변발의 쇠퇴
변발 스타일이 조선에서 퍼진 것은 청나라의 영향력과 그로 인한 문화적 영향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에 들어가면서 청나라의 국력이 쇠퇴하기 시작하고, 대신 서양 국가들의 국력과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청나라 스타일의 변발은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다음의 몇 가지 주요 사건과 변화가 변발 스타일의 소멸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청나라의 쇠퇴
19세기 후반, 청나라는 여러 내외적인 문제로 인해 점차 약해져 갔습니다.
이로 인해 청나라의 문화적 영향력도 약화되었습니다.
동아시아의 국제정세 변화
서양 국가들, 특히 일본이 국력을 강화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국제정세는 크게 변화하였습니다.
1895년 일본이 청나라를 이기는 일제-청 전쟁 이후, 일본의 영향력이 늘어나기 시작하였습니다.
조선의 개화 및 근대화
19세기 후반부터 조선은 서양과의 교류를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개화 움직임은 전통적인 문화와 스타일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일본의 조선 침략
1910년 일본이 조선을 병합하면서, 일본의 문화와 스타일이 조선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습니다.
위의 이유로 인해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걸쳐 변발 스타일은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대신 서양 스타일의 옷차림과 머리 스타일이 조선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2023.09.19 - [생활/정보] - 단식은 몇일까지 가능할까? 단식 기간별 위험성 정리
단식은 몇일까지 가능할까? 단식 기간별 위험성 정리
최근 이재명 대표는 단식을 시작하여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단식 중인 이재명 대표를 방문한 문 전 대통령은 그를 설득하여 단식을 중단하도록 했다는 정보도 있습니다[4]. 또한, 이재명 대표
aims.tistory.com
2023.09.18 - [생활/용어] - 블랙아웃의 원래 의미와 사람들에게 오는 블랙아웃
블랙아웃의 원래 의미와 사람들에게 오는 블랙아웃
블랙아웃은 다양한 문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어입니다. 연예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블랙아웃 현상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블랙아웃의 원래 의미와 사람들에게 오는 블랙
aims.tistory.com
2023.09.17 - [생활/정보] - 동양적 인간관계와 서양적 인간관계
동양적 인간관계와 서양적 인간관계
동양적인간관계와 서양적인간관계라는 말이 자주 나오는데요. 아무래도 동양인과 서양인의 문화가 다름에서 나오는 인간관계의 차이인 것같은데요. 한번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의목
aims.tistory.com
2023.09.14 - [생활/정보] -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성향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성향
뉴라이트는 원래 서구에서 등장한 보수적인 정치 운동 및 사상을 나타내는 용어로, 1970~80년대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의 뉴라이트는 특정 정치적 성향이나 그룹을 가리키
aims.tistory.com
'생활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네스 세계 기록(Guinness World Records), 기네스북이란 무엇인가? (0) | 2023.09.23 |
---|---|
영치금의 세계: 감옥 내에서의 경제 시스템 (0) | 2023.09.21 |
블랙아웃의 원래 의미와 사람들에게 오는 블랙아웃 (0) | 2023.09.18 |
NSC(국가안전보장회의)와 안보리(유엔 안전보장이사회) (0) | 2023.09.14 |
투렛(뚜렛)증후군과 틱장애에 대하여 (0) | 2023.09.12 |